본문 바로가기
위라이트 '경제' Economy

미국은 그래도 되는 나라? 트럼프의 관세 정책

by 위라이트 2025. 3. 7.
반응형

관세정책을 미루다 ;멕시코 관세 한 달 유예, 캐나다 '나는...?'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3월 6일 멕시코산 상품에 부과되었던 25% 관세를 한 달간 유예한다고 공표했습니다

지난 4일 관세 부과를 시작한 지 이틀 만의 결정으로, 멕시코와의 무역 관계에 중대한 변화를 예상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현재 트럼프 정부의 많은 문제점을 강력하게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한 국가가 다른나라와의 협상을 이어갈때 중대한 기준을 결정하고 그와 관련된 상황을 하나하나 풀어가야 하는것이 그동안의 흐름이었다면 트럼프 정부는 손바닥 뒤집듯 정책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물론 자국 이익을 위해서라면 한 국가의 대통령은 그러한 결정을 충분히 할 수 있지만 한순간의 결정의 영향력이 전세계에 미치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조치는 조금 가볍다 할 수 있겠네요

 

다만, 현재 캐나다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유예 언급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캐나다에 대해서는 이러한 관세 유예 조치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간의 통화에서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트뤼도 총리가 관세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이에 따라 캐나다와의 무역 긴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USMCA를 준수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 한 달간 관세 유예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서는 멕시코만 언급되었으며, 캐나다는 제외되었습니다. 이는 캐나다와의 무역 관계에 새로운 긴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트럼프의 결정, 자국내 영향(퍼스트 아메리카)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결정은 미국 내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유예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되어, 미국 증시는 1% 이상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4월 2일 이후 상호 관세 부과가 예정되어 있어, 관세 불확실성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멕시코, 캐나다 미국의 중요한 무역 파트너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서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특히 USMCA는 북미 지역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정으로, 이번 관세 유예 조치는 이러한 협정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캐나다에 대한 관세 유예가 적용되지 않음으로써, 캐나다와의 무역 관계에 새로운 도전과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후 미국과 캐나다 간의 무역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 그리고 4월 2일 이후 관세 정책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는 북미 지역의 경제와 글로벌 무역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지속적인 주시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