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라이트 '생활정보' Living Information

헌법재판소 도대체 어떤 일을 하는 기관일까?

by 위라이트 2025. 4. 6.
반응형

헌법재판소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국민의 기본권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국가 권력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도록 감시하는 기관입니다.
단순히 법률을 다루는 곳이 아니라, 헌법이라는 나라의 근간을 지키는 특별한 법정이죠.
이번 글에서는 헌법재판소의 역할, 기능, 구조, 그리고 주요 사례들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헌법재판소란?

**헌법재판소(Constitutional Court)**는 198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헌법기관으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는 법률, 제도, 국가행위에 대해 헌법에 어긋나는지를 판단합니다.

📍 주요 위치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와대 인근인 삼청동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의 주요 기능

  1. 위헌법률심판
    • 국회에서 제정한 법률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판단
    • 국민은 이 제도를 통해 자신의 권리가 침해될 경우 직접 위헌 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2. 헌법소원심판
    • 국민이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로 인해 기본권을 침해받았다고 판단될 경우 제기할 수 있습니다.
  3. 탄핵심판
    • 대통령, 국무총리, 장관, 판사 등 고위 공직자의 헌법 또는 법률 위반 시 파면 여부를 심사
  4. 정당해산심판
    • 특정 정당이 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정당의 해산 여부를 결정
  5. 권한쟁의심판
    •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간의 권한 다툼을 해결하기 위한 심판

👨‍⚖️ 재판관 구성

헌법재판소는 총 9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됩니다.

  • 대통령, 국회, 대법원장이 각각 3명씩 추천
  • 재판관 중 1명이 헌법재판소장으로 임명되며, 대통령이 지명하고 국회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 임기는 6년이며, 연임 가능합니다.

🧾 주요 헌법재판소 결정 사례

  1.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2017)
    • 사상 처음으로 헌법재판소가 대통령을 파면한 역사적 결정
    • 당시 8명의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탄핵이 인용됨
  2. 간통죄 위헌 결정 (2015)
    • 62년 동안 존속해온 간통죄에 대해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며 위헌 판결
  3. 사형제도 합헌 결정 (1996, 2010)
    • 현재까지 사형제는 합헌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여전히 위헌 논쟁이 존재

📣 헌법재판소의 존재 의미

헌법재판소는 단순히 법을 심판하는 기관이 아닌,
국민의 인권을 보호하고, 권력의 남용을 막는 민주주의의 방패 역할을 합니다.

국회와 행정부, 사법부가 헌법에 맞지 않는 결정을 내릴 경우,
헌법재판소는 이를 제지할 수 있는 최종적 판단 기관입니다.


🧠 헌법재판소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정치적인 기관이다?
    → 헌법재판소는 헌법에 명시된 기준에 따라 법률적 판단을 내리며, 정치적 판단과는 엄격히 구분됩니다.
  • 일반인이 이용하기 어렵다?
    → 헌법소원제도를 통해 일반 국민도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느낄 경우 직접 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