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라이트 '경제' Economy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세로운 관세 정책 발표(각국의 다른 관세)

by 위라이트 2025. 4. 3.
반응형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각국별 전세계 관세부과를 발표했다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된 행사에서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미국의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국내 제조업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특정 국가에 대해서는 더 높은 '상호' 관세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각국별 트럼프 관세
미국 대통령 각국별 관세 차등 발표
트럼프 관세정책
미국은 그래도 되는나라?

주요 관세율 상세

  • 중국: 기존 20% 관세에 추가로 34%를 부과하여 총 54%의 관세율 적용
  • 유럽 연합(EU): 20%의 관세 부과
  • 일본: 24%의 관세 부과
  • 인도: 26%의 관세 부과
  • 베트남: 46%의 관세 부과
  • 캄보디아: 49%의 관세 부과
  • 스위스: 31%의 관세 부과
  • 대한민국: 25%의 관세 부과
  • 대만: 32%의 관세 부과
  • 태국: 36%의 관세 부과
  • 방글라데시: 37%의 관세 부과
  • 파키스탄: 29%의 관세 부과
  • 인도네시아: 32%의 관세 부과
  • 남아프리카 공화국: 30%의 관세 부과
  • 스리랑카: 44%의 관세 부과

.....

관세
상호관세란 무엇인가?

 

 

또한,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이러한 조치는 2025년 4월 5일 오전 12시 1분(동부 표준시)에 발효될 예정이며, 특정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는 4월 9일 오전 12시 1분(동부 표준시)에 발효됩니다

 

각 주요국의 관세 요율을 확인해보면 대한민국은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경쟁하는 유럽과 일본에 비해 높은 관세를 부과받았다 이는 대미수출에 높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앞으로 수출로의 강력한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국제 사회의 반응

이러한 관세 부과에 대해 여러 국가와 경제 전문가들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 연합(EU)은 이러한 조치가 부당하다고 비판하며, 보복 관세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번 발표에서 제외되었지만, 다른 국가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 내에서는 이러한 관세가 국내 제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기대와 동시에, 소비자 물가 상승과 국제 무역 갈등 심화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제품 등 주요 수입품의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이에 따른 소비자 부담 증가가 우려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가 미국 경제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공정한 무역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세 정책이 실제로 미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앞으로의 국제 정세와 무역 협상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전망
관세로 인한 미국주식 전망(feat. 애플폭락)

 

결론

어차피 예상되는 결말 이였지만 트럼프 정부의 놀라운 관세발표는 앞으로의 미래전망에 악영향을 줄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장 관련 미국 주가는 밤사이 폭락하였습니다

높은 관세로 그동안 값싼 제품을 소비하던 미국 중산층과 하층민들은 앞으로 높아진 물가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것입니다

새로운 강력한 미국을 다시 만들기위해 뽑힌 트럼프 대통령은 중산층 및 하층민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어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자국내 산업이 다시 만들어지며, 미국민들에 대한 수요를 천천히 충족시키겠지만 그동안의 몇년동안은 높아진 물가로 피해를 볼 것입니다

 

여기서 또다른 결론, 모든 정부는 사실상 국가의 앞날을 명분으로 정책을 결정합니다 그 명분안에 사실상의 피해자들은 항상 경제력이 좋치 않은 국민들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가 높은 경제력을 위해 노력해야하는 중요 이유중에 하나입니다

반응형